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조회 수 5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례와 미사의 영성 (3) 전례 시간의 의미 : 오늘

 

 

살아있는 모든 것은 오늘을 살아갑니다. 무언가 오늘을 살지 못한다면 그것은 더 이상 살아있는 존재가 아닙니다. 그래서 ‘오늘을 살아간다’는 것은 자신이 살아 있음을 확인받는 가장 중요한 개념이 됩니다. 이런 측면에서 신앙인의 ‘오늘’도 단지 측정 가능한 시간적 의미의 하루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신앙인들의 살아있음은 항상 하느님에게서 오는 것이기에 그들의 오늘은 언제나 하느님과 연관된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신앙인의 모든 오늘은 늘 하느님께 자신을 일치시켜 나가는 과정이 됩니다.

 

이러한 오늘 하루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두 축이 있다면, 아침과 저녁입니다. 아침은 “모든 사람을 비추는 참빛”(요한 1,9)이시고, “높은 곳에서”(루카 1,78) 솟아오르는 “의로움의 태양”(말라 3,20)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연관됩니다. 그래서 우리의 모든 아침은 주님의 부활을 경축하며 우리 자신을 그 신비에 내어 맡기는 모습을 지니게 됩니다. 모든 오늘의 시작을 부활의 신비 속에 맞이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녁은 하루가 끝나고 하느님께 자신이 받은 은총에 대해 감사드리는 시간입니다. 이 시간에 우리는 특별히 최후의 만찬과 주님 십자가의 신비를 기념하게 됩니다. 온 세상의 구원을 위해 자신을 봉헌하신 주님의 놀라우신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잠자리에 들며 그 사랑에 우리 자신을 내어 맡기면서 작은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또한 동시에 미래의 부활을 상징하는 새로운 아침을 기다립니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가 아침, 저녁으로 바치는 기도는 그리스도 사랑의 신비에 우리를 참여시키는 모습이 됩니다. 해돋이에서부터 해넘이까지 스며든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과 부활의 신비에 나의 오늘을 맞춰가는 과정이 됩니다. 그래서 하느님을 내 뜻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나를 하느님 뜻에 맞추는 과정이 바로 우리의 모든 ‘오늘’ 안에서 바치는 기도의 모습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의 시간이 성화됩니다. 우리의 유한한 오늘이 하느님의 영원한 오늘에 참여하게 됩니다. 우리의 모든 오늘은 은혜로워지고, 거룩해집니다. 이렇게 우리는 모든 ‘오늘’을 그리스도의 부활 신비 안에서 새롭게 살아갑니다.

 

[2022년 2월 20일 연중 제7주일 춘천주보 2면, 김혜종 요한 세례자 신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 [레오 14세] 레오 14세 교황님 상본 파일 노프란치스코 2025.05.22 392
29 그라츠-섹카우교구장 서한 노프란치스코 2025.06.04 251
28 2025년 교황주일(6월 29일) 노프란치스코 2025.06.13 261
27 [담화] 2025년 제30회 농민 주일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6.16 246
26 [강론] 레오 14세 교황 선출 감사 미사, 의장 주교 강론 노프란치스코 2025.06.16 286
25 레오 14세 교황 선출 감사 미사, 교황대사 축하 메시지 노프란치스코 2025.06.16 275
24 [교구청 사목국 성경사목부] 교구 성경 특강 2025년 6월 10일 노프란치스코 2025.06.16 273
23 제11회 성심 어울림 축제 2025년 6월 7일 노프란치스코 2025.06.16 245
22 [사진] 레오 14세 교황 선출 감사 미사 노프란치스코 2025.06.18 251
21 [교구청 사목국 일반사목부] '사목국 신앙강좌 1' 실시 2025년 6월 28일 노프란치스코 2025.07.09 243
20 [담화] 2025년 제5차 세계 조부모와 노인의 날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7.17 235
19 [담화] 2025년 제10차 피조물 보호를 위한 기도의 날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7.18 236
18 [사목 자료] 제5차 세계 조부모와 노인의 날을 위한 사목 자료 노프란치스코 2025.07.23 218
17 [담화] 2025년 피조물 보호를 위한 기도의 날 생태환경위원회 위원장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8.06 204
16 [담화] 2025년 제111차 세계 이주민과 난민의 날 교황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8.08 185
15 교구 제7번째 베트남 공동체, 남지성당에 설립... 이주민 신앙공동체 13개로 확대 노프란치스코 2025.08.08 218
14 [담화] 2025년 제9차 세계 가난한 이의 날 교황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8.20 184
13 [담화] 2025년 제99차 전교 주일 교황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8.25 176
12 [담화] 밀레니얼 세대의 첫 성인, 카를로 아쿠티스 복자의 시성에 즈음하여 노프란치스코 2025.09.03 130
11 [담화] 2025년 제111차 세계 이주민과 난민의 날 국내이주사목위원회 위원장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9.03 136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