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례와 미사의 영성 (18) 미사의 영성 : 하느님의 자비

 

 

삶을 살아가며 우리는 우리 자신의 한계를 체험할 때가 많습니다. 많은 수고와 노력 끝에 삶의 힘겨운 고개를 넘고 나서 생각합니다. ‘이제는 내 삶이 좀 더 나아지지 않을까….’ 이렇게 희망을 가져보지만, 여전히 또 다른 삶의 힘겨움이 눈앞에 마주하고 있음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우리는 자신의 무력함을 체험합니다. 이 세상에서 인간이란 한낱 스쳐 가는 바람이며, 한 줌의 먼지와도 같다는 것을.... 삶을 살아가며 하느님께서 허락하지 않으시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것을.... 그렇게 자신의 한계를 체험하는 그 길의 끝에서 우리는 새로운 자신을 만나게 됩니다. 지난날의 부족함에 대해 가슴을 치며 뉘우칠 수 있는 자신을, 그리고 자신의 나약함을 인정하며 주님 앞에 무릎 꿇을 수 있는 그런 자신을 만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때 우리는 비로소 주님께 진심 어린 마음으로 이렇게 청할 수 있게 됩니다.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키리에 엘레이손(Kyrie eleison)으로 표현되는 이 자비송은 눈이 멀었던 바르티메오의 외침인 “다윗의 자손 예수님,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마르 10,47)와 연관된 것으로 원래는 동방 교회에서부터 행해지다가 5세기경 순례자들에 의해 로마 교회에 유입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자비송은 찬미와 참회를 위한 간청이라는 이중적 가치를 지닙니다. 첫째로, ‘주님’(Kyrie)이라는 호칭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참된 주님이심을 고백하며 찬미를 드리게 됩니다. 그리고 둘째로 ‘자비를 베푸소서’(eleison)라는 표현을 통해 우리 모두가 죄와 함께 살아가고 있는 죄인임을 고백하며 주님의 용서와 자비를 간청하게 됩니다.

 

이러한 주님의 자비에 대한 간청은 다른 말로 ‘하느님의 지칠 줄 모르는 사랑에 대한 희망’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지칠 줄 모른다는 것은 그 사랑을 받는 사람이 어떤 모습이든, 또 어떤 처지에 있든 한결같은 모습으로 사랑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아무리 나 자신이 죄스러운 모습으로 살아갈지라도, 그리고 비록 신앙인답게 제대로 살지 못했을지라도, 이런 우리를 향한 주님의 사랑은 지치는 법이 없기 때문에 그 사랑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자비를 베풀어 달라고 간청하는 것입니다.

 

‘저처럼 죄 많은 사람도 괜찮을까요? 제가 이렇게 부족한 모습으로 살아가는데 저에게도 주님께서 은총을 베풀어 주실까요?’ 이렇게 움츠러들고 두려워하는 우리에게 주님은 말씀하십니다.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요한 15,9). 주님의 사랑은 우리를 먼저 떠나지 않습니다. 또한 주님의 사랑은 지치는 법이 없습니다. 그 사랑을 우리는 “주님의 자비”라고 부릅니다. 우리에게 베푸신 그 자비가 얼마나 고맙고 소중한지를 느낄 수 있을 때 우리는 비로소 온 마음과 정성을 다해 이렇게 주님을 찬양합니다. “하늘 높은 데서는 하느님께 영광.”

 

[2022년 6월 19일(다해)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춘천주보 2면, 김혜종 요한 세례자 신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9 [교구청 사무처] 2025년 춘계 사제총회 노프란치스코 2025.03.14 116
168 [소식] 프란치스코 교황님을 위한 기도와 미사 봉헌 요청 노프란치스코 2025.03.11 93
167 [사진] '미등록 이주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위한 의료비 지원 사업을 위한 서울대교구와 전국 교구간 업무 협약 체결 노프란치스코 2025.03.06 192
166 2025년 정기 희년 전대사 수여 안내 노프란치스코 2025.02.27 102
165 [담화] 2025년 사순 시기 교황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2.27 119
164 프란치스코 교황님을 위한 기도와 미사 봉헌 요청 노프란치스코 2025.02.27 110
163 [교구청 사목국] 전례분과위원연수 2025년 2월 15일, 16일 노프란치스코 2025.02.21 200
162 [사목국] 가정사목분과위원 연수 2025년 2월 15일 노프란치스코 2025.02.19 177
161 [사목국] 교구 성경교육봉사자 개강 피정 2025년 2월 15일~16일 노프란치스코 2025.02.19 234
160 [그라츠 자매교구 위원회] 그라츠-섹카우 교구 사절단 마산교구 방문 2025년 2월 11일(화) ~15일(토) 노프란치스코 2025.02.19 219
159 제6대 천주교마산교구장 이성효 리노 착좌식 2025년 2월 12일 (수) 노프란치스코 2025.02.14 149
158 [특별중계] 마산교구 제6대 교구장 이성효 리노 주교 착좌 미사 | 창원컨벤션센터 file 노프란치스코 2025.02.12 179
157 제6대 마산교구장 이성효 주교 착좌식 축사(주교회의 의장) 노프란치스코 2025.02.12 116
156 [담화] 2025년 제33차 세계 병자의 날 교황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1.31 151
155 [담화] 2025년 축성 생활의 날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1.20 111
154 천마교 2025-8 새 사제 인사 발령 노프란치스코 2025.01.17 250
153 교구 사제, 부제 서품식 2025년 01월 08일(수) 노프란치스코 2025.01.10 95
152 [사무처] 이성효 리노 주교, 마산교구 첫 방문 노프란치스코 2025.01.06 126
151 [담화] 2025년 그리스도인 일치 기도 주간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1.06 153
150 [담화] 2025년 제33회 해외 원조 주일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1.06 83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