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조회 수 2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례와 미사의 영성 (39) 평화의 인사

 

 

누군가를 처음 만났을 때 우리가 가장 먼저 하는 것이 있다면 서로 인사를 나누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사는 처음 만나는 사람의 경우에는 서로를 소개하고, 원래 아는 사람의 경우에는 서로 안부를 물음으로써 유대감을 이루기도 합니다. 이러한 인사의 의미는 사실 가만히 보면 단순한 안부 나눔이 아닙니다. 한 존재와 또 다른 한 존재, 그리고 한 사람의 지난 삶의 역사가 또 한 사람의 삶의 역사를 만나 서로에게 말을 건네는 순간입니다. ‘나’와 ‘너’를 떠나 ‘우리’가 되는 순간입니다.

 

우리 신앙인들도 매 미사 때 평화의 인사를 서로 나눕니다. 그런데 미사 때 이 인사는 왜 하는 것일까요? 사실 미사를 시작하면서 바로 인사를 나누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요? 특히 주일 미사 같은 경우는 오랜만에 만나게 되는 신자들도 있으니 미사를 시작하면서 먼저 반갑게 인사 나누면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왜 미사가 거의 끝나갈 무렵인 영성체 전에 평화의 인사를 서로 나눌까요?

 

미사 때 신자들이 서로 나누는 평화의 인사는 로마서(16,16)에 나오는 “거룩한 입맞춤”이나 베드로 I서(5,14)에 나오는 “사랑의 입맞춤”이란 의미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사실 이 평화의 인사는 화해와 일치의 의미로 서로 나누는 것입니다. 특히 영성체를 통해 성체를 모시며 그리스도와 일치하기에 앞서, 먼저 신자들이 서로 화해하고 일치함으로써 주님을 모실 준비를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초대 교회에서는 이러한 평화의 인사를 예물 봉헌 전에 실시하였습니다. 이는 제단에 예물을 바치기 전에 원한을 품고 있는 사람과 화해하라는 주님의 말씀을 상기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습니다(마태 5,23-24 참조). 이런 측면에서 예루살렘의 치릴로(315-387) 성인은 평화의 인사를 화해의 표시라고 하였습니다. 서로 간에 다툼과 갈등이 있다면 이 평화의 인사를 통해 하느님 앞에서 진정으로 화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여겼던 것입니다.

 

그러다 이 예식은 7세기경부터 영성체 전으로 그 순서가 옮겨지게 됩니다. 그 이유는 화해와 평화를 통한 서로 간의 일치가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와의 일치를 지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가 부각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는 영성체 전에 이런 평화의 인사를 서로 나누도록 한 것입니다. 신자들 간의 일치를 넘어 그리스도와의 일치를 지향하기 때문에 평화의 인사는 궁극적으로 ‘신앙인 공동체의 일치’를 통하여 ‘그리스도와의 일치’를 향한 예식이 됩니다.

 

그러므로 평화의 인사는 단순히 주위 사람들과 가볍게 서로의 안부를 묻고 나누는 시간이 아닙니다. 신앙인 공동체 안에서 평화를 나누고 기원하는 기도이자 서로를 향한 축복입니다. 더 나아가 천상 예루살렘에서 누릴 종말론적인 완전한 평화를 위해 함께 노력하고 일치하여 걸어가야 하는 신앙 공동체의 표지가 되는 것입니다.

 

[2023년 1월 15일(가해) 연중 제2주일 춘천주보 2면, 김혜종 요한 세례자 신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 [담화] 2025년 제33회 해외 원조 주일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5.01.06 109
149 천마교 2025-1 1. 홍보국 신설 2. 인사발령 노프란치스코 2025.01.03 157
148 [담화] 2024년 교구장 서리 성탄 담화문 노프란치스코 2024.12.23 255
147 제6대 신임 마산교구장 이성효 리노 주교 임명 발표 노프란치스코 2024.12.22 194
146 [담화] 2025년 제58차 세계 평화의 날 교황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4.12.19 159
145 [2025년 희년] 2025년 희년 포스터와 현수막 제작용 파일 노프란치스코 2024.12.17 321
144 [담화] 2024년 제24회 가정 성화 주간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4.12.13 185
143 [서한] 성인, 복자, 가경자, 하느님의 종에 대한 개별 교회들의 기념 노프란치스코 2024.12.03 148
142 2025년 사목교서 노프란치스코 2024.11.29 156
141 [사무처] 교구 추계 사제 총회 노프란치스코 2024.11.21 230
140 [담화] 2024년 제41회 자선 주일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4.11.21 145
139 [담화] 제43회 인권 주일, 제14회 사회 교리 주간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4.11.21 131
138 [서한] 양성에서 문학의 역할 (The Role of Literature in Formation) 노프란치스코 2024.11.08 178
137 제13회 교구성경잔치 동영상 노프란치스코 2024.11.07 305
136 [담화] 2024년 제40회 성서 주간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4.11.01 221
135 주한 교황대사 조반니 가스파리 대주교, 대통령에게 신임장 제정 노프란치스코 2024.10.30 304
134 [사목 2024-189] 사목국 신앙강좌 노프란치스코 2024.10.29 158
133 [담화] 2024년 제39차 세계 젊은이의 날 교황 담화 노프란치스코 2024.10.22 184
132 교구사목과 더불어 124위 시복을 위해 땀 흘린 제3대 교구장 박정일 미카엘 주교 노프란치스코 2024.10.18 190
131 주교회의 2024년 추계 정기총회 주한 교황대사 말씀 노프란치스코 2024.10.15 214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