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조회 수 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사』 발행

- 1784년부터 6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정리 -

한국천주교주교회의는 교육위원회(위원장 문창우 주교)가 편찬한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사』를 2024년 10월 1일 발행하였다. 연구와 집필에는 김선필 박사(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선임 연구원)가 참여하였다. 신국판, 336면, 15,000원, 구입 문의 02-460-7582~3.

 

교육위원회는, ▲한국 가톨릭 학교가 걸어온 길을 돌아보고, ▲오늘날 교육 현장에서 왜 가톨릭 정체성을 지키는 것이 중요한 일인지, ▲왜 가톨릭 학교 교육의 목표가 ‘복음화와 전인교육’인지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사』를 편찬하였다.

이 책은 1784년부터 현재까지 한국 가톨릭 학교가 걸어온 길을 6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학교 교육과 관련하여 반드시 알아 두어야 할 한국 근현대사와 한국 천주교회사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6개의 시기는 ▲박해 시기(1784-1882년) ▲개항기(1882-1910년) ▲일제 강점기(1910-1945년) ▲미 군정과 이승만 정부 시기(1945-1960년) ▲군부 정권 시기(1960-1987년) ▲민주화 시기(1987년-현재)이다.

 

발간사에서 교육위원회 위원장 문창우 주교(제주교구장)는 “급변하고 있는 오늘날 학교 현장에서 가톨릭 학교의 정체성을 지키는 일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면서 “가톨릭 학교들이 ‘복음화와 전인 교육’이라는 교육 목표를 이루려면 과거 가톨릭 학교들이 이를 위하여 어떤 노력을 펼쳐 왔는지 돌아보며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밝혔다.

 

2021년 12월 주교회의 승인을 받은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 백서 발간을 위한 연구’에 따라 준비되어 온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사』는 주교회의 사회주교위원회와 주교회의 상임위원회의 감수를 거쳐 주교회의 2023년 추계 정기총회의 승인을 받아 발행되었다.

---------------------------------------------------------------------------------------------------
<차례>
발간사
들어가며 

 

1. 박해 시기(1784-1882년)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의 태동
  1) 한국 천주교회 설립과 조선 왕조의 박해 
  2) 조선의 대외 인식
  3) 가톨릭 학교 교육 현황 
    (1) 회장제와 명도회, 그리고 학교 설립을 위한 노력 
    (2) 한국인 성직자 양성을 위한 노력 
  4) 결론

 

2. 개항기(1882-1910년)
  본격적인 가톨릭 학교 교육의 시작
  1) 박해의 종식과 선교의 자유 
  2) 근대식 교육 제도의 도입과 애국 계몽 운동 
  3) 일제의 교육 통제 
  4) 가톨릭 학교 교육 현황
    (1) 한한 학원 – 개항기 최초의 근대식 학교 
    (2) 많은 수의 소규모 학교들
    (3) 여성 교육을 위한 학교 설립
    (4) 애국 계몽 운동의 요람, 일제의 탄압
    (5) 교육 수도회 영입을 통한 중등 교육 기관 설립
    (6) 예수 성심 신학교 설립과 신학교 교육 
  5) 결론

 

3. 일제 강점기(1910-1945년)
  식민 지배 속에서도 한결같이
  1) 일제의 종교 정책과 천주교회 
    (1) 정교분리 
    (2) 종교 통제의 강화 
    (3) 신사 참배
    (4) 전시 동원 체제
  2) 일제의 교육 정책과 천주교회 
    (1) 사립 학교 통제의 강화 
    (2) 문화 통치와 교육 
    (3) 황국 신민 교육, 전쟁 수행의 도구화 
  3) 가톨릭 학교 교육 현황 
    (1) 비인가 소규모 학교 운영
    (2) 정규 보통학교의 설립과 운영
    (3) 천주교 교사 양성을 위한 사범 학교 – 숭신 학교 
    (4) 직업 교육을 위한 실업 학교 – 숭공 학교
    (5) 중등 교육 기관의 설립 – 동성 상업 학교와 계성 여자 상업 전수 학교 
    (6) 여성 교육 
    (7) 유아 교육 
    (8) 신학교의 분리와 폐교
  4) 결론

 

4. 미 군정과 이승만 정부 시기(1945-1960년)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의 새로운 도약 
  1) 미 군정, 이승만 정부의 종교 정책과 천주교회
    (1) 미 군정의 친(親)그리스도교 정책 
    (2)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천주교회
    (3) 북한과 반공 주의
    (4) 이승만 정부와 천주교회
  2) 미 군정, 이승만 정부의 교육 정책과 천주교회
    (1) 미 군정의 교육 정책
    (2) 국가 교육 제도의 수립
    (3) 초등 의무 교육의 시행 
  3) 가톨릭 학교 교육 현황 
    (1) 중·고등 교육 기관 설립
    (2) 한국 전쟁과 가톨릭 학교 교육
    (3) 국제 수도회의 한국 진출과 학교 설립
    (4) 종교 교육
    (5) 여성, 유아, 특수 교육 
    (6) 국내 유일의 신학 교육 기관 – 성신 대학과 성신 중·고등학교 
  4) 결론 

 

5. 군부 정권 시기(1960-1987년)
  강화되는 국가의 교육 통제
  1) 제2공화국과 천주교회
  2) 군부 정권의 종교 정책과 천주교회 
    (1) 반공 주의를 매개로 박정희 정부와 맺은 협력 관계 
    (2)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영향과 박정희 정부와 대립
    (3) 신군부 세력의 등장과 한국 교회의 대응
  3) 군부 정권의 교육 정책과 한국 교회 
    (1) 국가의 학교 통제와 애국 시민 양성 
    (2) 중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3) 종교 교육 통제 
  4) 가톨릭 학교 교육 현황 
    (1) 지속적인 학교 설립
    (2) 환경 변화에 따른 폐교 
    (3) 종교 교육 
    (4) 여성, 유아, 특수 교육 
    (5) 신학교 추가 설립과 문호 개방 
  5) 결론

 

6. 민주화 시기(1987년-현재) 
  가톨릭 학교의 정체성을 찾아서 
  1) 1987년, 민주화 시대의 개막
  2) 민주화 시기, 정부의 종교 정책과 천주교회 
  3) 민주화 시기, 정부의 교육 정책과 천주교회 
    (1) 시대 변화를 반영하는 교육 정책
    (2) 사립 학교 지원과 통제 
    (3) 종교 교육 정책 
  4) 가톨릭 학교 교육 현황 
    (1) 가톨릭 학교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노력
    (2) 가톨릭 학교들의 새로운 도전
    (3) 종교 교육 
    (4) 여성, 유아, 특수 교육
    (5) 신학교의 추가 설립과 부설 교육원 운영
  5) 결론

나가며


  1. “우리농촌살리기운동 천주교본부” 창립선언문

    Date2024.11.21 By노프란치스코 Views89
    Read More
  2. 제34회 한국 가톨릭 매스컴대상 ‘대상’에 ‘EBS 다큐프라임 <내 마지막 집은 어디인가>’ 선정

    Date2024.11.21 By노프란치스코 Views88
    Read More
  3. 바오로딸 성경학교 학생 모집

    Date2024.11.08 By노프란치스코 Views98
    Read More
  4. [사진] 제19회 가톨릭 환경상 시상식

    Date2024.10.30 By노프란치스코 Views101
    Read More
  5. 의료 공백 사태 해결을 위한 한국 천주교회의 호소문

    Date2024.10.23 By노프란치스코 Views101
    Read More
  6. 성경잔치 작품전시 10월 19일(토)~27(일)

    Date2024.10.23 By노프란치스코 Views100
    Read More
  7. 제19회 가톨릭 환경상 대상에 ‘천주교 대전교구 천안성정동 성당’

    Date2024.10.18 By노프란치스코 Views97
    Read More
  8. [사목 2024-186] 천주교 마산교구 신앙대학 신입생(제29기) 모집

    Date2024.10.16 By노프란치스코 Views103
    Read More
  9. 주교회의 2024년 추계 정기총회 결과

    Date2024.10.16 By노프란치스코 Views102
    Read More
  10. 주교회의 여성소위원회 2024년 정기 세미나

    Date2024.10.15 By노프란치스코 Views127
    Read More
  11.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사 발행』

    Date2024.10.14 By노프란치스코 Views96
    Read More
  12. 한일 탈핵평화순례 10년, 돌아보며 나아가는 길!

    Date2024.10.10 By노프란치스코 Views124
    Read More
  13. 제22회 세계 사형 폐지의 날 공동 성명

    Date2024.10.10 By노프란치스코 Views121
    Read More
  14. 교황, 희년 공식 선포 순간…"성년 문이 열리면..."

    Date2024.10.08 By노프란치스코 Views103
    Read More
  15. 왜 10월이 묵주기도 성월일까요?

    Date2024.10.08 By노프란치스코 Views129
    Read More
  16.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 주제성구와 로고 발표

    Date2024.09.27 By노프란치스코 Views128
    Read More
  17. 한국 천주교 주교들, 7일 간의 사도좌 정기방문 일정 마쳐

    Date2024.09.23 By노프란치스코 Views97
    Read More
  18. [공모] 2025년도 명도회 장학금 지원 대상자 공모

    Date2024.09.23 By노프란치스코 Views111
    Read More
  19. 제6회 에큐메니칼 문화예술제 “하나의 공간-돕거나 싸우거나” 개최 안내

    Date2024.09.20 By노프란치스코 Views125
    Read More
  20. [공모] 제34회 한국 가톨릭 매스컴대상 공모

    Date2024.09.10 By노프란치스코 Views12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 4 Next
/ 4